티스토리 뷰
진한 우정, 사랑, 자아의 성장이라는 깊은 테마를 다룬 감성 멜로드라마 입니다.
1. 영화 개요
제목 :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원제: 七月与安生 / Soulmate)
장르 : 드라마
감독 : 증국상
주연 : 주동우, 마사순, 이정빈
개봉 : 2017년, 중국
2. 줄거리
◐ 시작 - 서로 다른 두 소녀의 만남
중국의 대도시에서 유년 시절을 함께 보낸 두 여학생 *안생(安生)*과 *칠월(七月)*는 서로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칠월은 조용하고 얌전하며, 모범적인 성격을 지닌 소녀입니다. 안정된 가정에서 자라나, 계획된 삶을 따르려 노력합니다.
반면 안생은 활발하고 자유분방하며, 거리낌 없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유로운 삶을 동경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가정환경이 불안정했고, 어릴 적부터 칠월 가족의 배려를 받으며 자라왔습니다.
어린 시절 둘은 마치 한 사람처럼 서로에게 의지하며 함께 성장해 왔고,,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였습니다. 영화는 이 ‘두 여성의 깊은 우정과 감정의 변화’를 중심축으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 성장과 첫사랑 - 감정의 균열
고등학생이 된 두 사람은 여전히 절친한 친구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두 사람 앞에 한 남학생 *자명(家明)*이 등장합니다.
칠월은 조용하고 점잖은 자명과 잘 어울리는 인물로 보였고, 실제로 자명은 칠월과 연애를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안생 역시 자명에게 강한 끌림을 느끼고, 자명 역시 안생에게 흔들립니다. 세 사람의 관계는 미묘한 삼각 구도를 형성합니다.
칠월은 자명과의 연애를 이어가면서도 안생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지만, 안생은 자신의 감정이 칠월과의 우정을 흔들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갈등합니다. 결국, 안생은 두 사람의 사이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망치듯 도시를 떠나 방황하는 삶을 시작합니다.
◐ 자유와 상처 - 다른 삶, 다른 선택
안생은 도시를 옮겨 다니며 살아갑니다. 호텔에서 일하기도 하고, 카페, 주점, 그리고 낯선 남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유를 찾아보지만, 마음속에는 칠월과의 추억, 그리고 자명에 대한 감정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반면, 칠월은 고향에 남아 학업을 마치고 자명과 결혼을 약속합니다. 하지만 안생의 부재는 그녀에게도 큰 공허함을 남깁니다. 칠월은 어느 순간, 자신이 안생의 부재 속에서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둘은 가끔 편지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서로의 안부를 전하지만, 직접 마주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던 중, 칠월이 자명을 따라 외국으로 떠나기로 결심하게 되고, 그 순간 다시 안생과 재회하게 됩니다.
이 재회는 두 사람에게도, 자명에게도 감정의 회오리를 불러옵니다. 자명은 여전히 안생에 대한 감정을 숨기지 못하고, 안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칠월은 이를 눈치채지만, 겉으로는 담담하게 행동합니다. 결국, 세 사람의 관계는 다시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게 됩니다.
◐ 진실과 고백 - 뒤바뀐 이야기
영화 후반부, 이야기는 큰 반전을 맞습니다.
영화는 칠월이 죽은 후, 그녀의 남편이 ‘칠월’이라는 이름으로 연재된 소설 원고를 우연히 발견하면서 전개됩니다. 이 소설은 칠월이 아닌 안생이 쓴 것으로 밝혀지고, 이야기의 일부는 *칠월의 시점*이 아닌 *안생이 칠월이 되어 쓴 이야기*임이 드러납니다.
즉, 관객이 알고 있던 칠월과 안생의 삶의 일부는 뒤바뀌어 있던 것이며, 두 사람은 서로를 동경하고 질투하며, 동시에 이해하고 완성시키는 존재였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칠월은 안생이 되고 싶었고, 안생은 칠월이 되고 싶었습니다. 결국, 안생은 칠월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그녀의 이름으로 소설을 쓰며, 칠월이 남기고 싶어 한 감정과 꿈을 이어갑니다. 이것은 단순한 우정 그 이상, 두 여성이 서로의 삶을 완성시키는 진정한 ‘소울메이트’‘소울메이트’였슴을 의미합니다.
◐ 마지막 장면 - 영혼의 교차
영화의 마지막, 안생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칠월은 세상을 떠났지만, 그녀는 내 안에 살아 있어요. 우리는 서로의 반쪽이었고, 이제야 하나가 되었죠."
그녀는 칠월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자 했고, 자신도 이제 그녀와 같은 삶을 살기로 결심합니다. 관객은 이 장면을 통해 죽음을 넘어선 교감, 정체성의 교차, 그리고 '소울메이트'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게 됩니다.
3. 특징
▣ 여성 중심 서사의 정점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는 두 여성의 서사만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드문 중국 영화입니다. 남성 중심의 서사 구조에서 벗어나, 여성의 감정·우정·사랑·성장이라는 다층적인 주제를 섬세하게 담아냅니다.
칠월은 규범을 따르며 정돈된 삶을 살고자 하지만, 그 안에 갇혀 자유를 갈망합니다.
안생은 자유롭고 열정적인 삶을 선택하지만, 그 속에서 안정과 사랑을 갈구합니다.
이처럼 두 캐릭터는 상반된 듯 보이지만, 서로의 부족한 면을 채우며 서로를 완성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영화는 여성의 내면을 단순화하지 않고, 입체적으로 풀어냅니다.
▣ 형식 실험: 소설과 현실의 경계
이 영화는 직선적인 시간의 흐름을 따라가지 않습니다. 극 중 ‘칠월’이라는 이름으로 쓰인 소설이 이야기의 큰 축이 되며, 실제 사건과 허구, 칠월과 안생의 시점을 교차시키는 복합 구조를 취합니다.
소설 속 내용이 현실을 반영하는 듯하면서도 반전과 혼동을 유도하고, 후반부에 이르러서야 소설은 안생이 쓴 것이며, 칠월의 정체성과 감정을 재현하려는 시도였음이 밝혀집니다.
이러한 구성은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 즉 “우리는 서로의 일부였다”는 주제를 더욱 극적으로 표현합니다.
▣ 정서적 리얼리즘과 촘촘한 연출
감정을 과장하지 않고, 현실에 기반을 둔 정서적 리얼리즘이 이 영화의 중요한 미학입니다. 인물 간의 대화는 일상적이면서도 깊은 상징을 내포하고 있으며, 작은 표정 변화와 눈빛, 배경 음악과 침묵까지 모두 인물의 감정을 드러내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또한 배경이 되는 도시는 칠월의 안정과 안생의 방황을 시각적으로 대조시키며, 인물의 정서 상태와 장면 분위기를 조화롭게 연결합니다. 특히 철도역, 병원, 호텔방, 자전거 도로 같은 장소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캐릭터의 감정 변화를 상징합니다.
▣ 배우들의 압도적인 연기
저우둥위(周冬雨)와 마쓰춘(马思纯)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해 냅니다..
저우둥위(안생 역)는 자유로움 속의 외로움, 불안과 그리움을 섬세하게 연기합니다.
마쓰춘(칠월 역)은 억눌린 감정 속의 갈등과 변화, 내면의 분열을 정제된 감정으로 표현합니다.
4. 총평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는 "소울메이트"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사랑과 우정의 경계, 개인의 정체성과 관계의 의미, 성장의 과정에서 겪는 상실과 치유를 다층적으로 그려냅니다.
◈ 정체성의 교차와 완성
영화 속 칠월과 안생은 단순한 친구가 아니라 서로의 반사된 자아입니다.
칠월은 안생처럼 살고 싶었고, 안생은 칠월처럼 되고 싶었습니다.
그들은 서로를 질투하면서도 사랑하고, 멀어지면서도 그리워하며, 결국 죽음을 통해 하나가 됩니다. 이 결말은 가슴 아프지만, 동시에 감정적으로 완결된 형태입니다. 이 영화는 단지 관계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통해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 여성 서사의 가능성을 확장
중국 사회에서 보기 드문 여성 간 감정 관계를 중심 서사로 끌어낸 영화라는 점에서, 이 작품은 매우 도전적이고 진보적인 시도로 평가받습니다. 두 여성의 관계는 ‘퀴어적 해석’도 가능하며, 이성애적 사랑을 넘어선 더 깊은 유대를 말하고 있습니다.
◈ 여운이 긴 영화
이 영화는 조용히 스며드는 슬픔과 그리움으로 관객을 붙잡습니다. 스토리 전개나 구조적 반전도 인상적이지만, 무엇보다 관객의 감정을 정직하게 흔드는 영화입니다.
두 여성은 서로의 그림자이자 거울이며, 경쟁자이자 진정한 동반자입니다. 그리고 그들의 사랑은 이성애적 삼각관계를 넘어서 존재론적 애정과 영혼의 일체감에 더 가깝습니다.
사랑과 우정, 자유와 안정, 정체성과 상실을 탐구하는 깊이 있는 작품으로, 두 여성의 삶은 단지 선택의 결과가 아니라, 서로를 통해 완성된다는 메시지입니다.
"인생 전체를 함께한 두 영혼의 대서사시" ◈◈
'영화,여행,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 트립 투 잉글랜드》 줄거리, 특징, 총평 (1) | 2025.05.09 |
---|---|
영화 《자객 섭은냥 》 줄거리,특징, 총평 (1) | 2025.05.08 |
영화 『 Her 』 줄거리, 특징 , 총평 (0) | 2025.05.06 |
영화 『킹메이커 』 줄거리, 특징, 총평 (5) | 2025.05.05 |
영화 『덩케르크』 줄거리, 특징, 총평 (2) | 2025.05.04 |